본문 바로가기
>
유익한 정보

개인연금저축(장점, 단점) 정말 필요할까??

by Real Pick 2019. 8. 30.

개인연금저축(장점, 단점) 정말 필요할까??


안녕하세요 리얼픽 입니다. 오늘은 개인연금저축 보험에 대하여 알아봤는데 장점과 단점으로 나에게 필요한 보험인지 알아가시기 바라겠습니다.


연금저축은 노후를 준비하는 대표적인 수단으로 은행권 연금저축신탁, 보험사 연금저축보험, 증권사 연금저축펀드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모두 기본 개념은 비슷합니다. 재테크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이라면 미리 준비하면 좋겠죠??


`

  연금보험 개념


국민연금과 개인연금 모두 매달 일정 금액을 납부하고 거치기간만큼 이자가 붙어 퇴직 후 매년 일정 연금액을 지급 받는 시스템입니다.


하지만 국민연금은 월급의 4.5%, 사업주 4.5% 매달 9%를 납입, 개인연금은 매달 자유롭게 금액 조절이 가능합니다.

  연금의 종류&특징


국민연금-소득발생시 의무가입


연금저축보험-연간 최대 400만원 한도 소득공제 가능


개인연금보험-10년 유지시 이자소득세 비과세


변액연금-펀드 투자형


번액유니버셜- 10년 유지시 비과세 


직장인의 경우 보통 소득공제가 가능한 연금저축보험을, 또는 개인연금보험 가입으로 10년 후 비과세 혜택을 받습니다.


가장많이 가입하는 연금저축의 경우 연간 납입 최대금액인 1800만원 중 400만원에 대해 13.2%에 상응하는 금액을 세액공제되며 연금으로 수령시 3.3%~3.5%의 저율로 연금소득공제 적용됩니다.



  개인연금저축 장점 단점


-장점

공시이율, 정액식, 원금보장,, 예금자보호 등으로 수익성과 안정성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연말정산시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단점

장기간 목돈이 묶여있다. 이자금액이 비교적 적다. 중도해지 시 손실 발생


중도 해지할 경우 "그 동안 공제 혜택을 받은 납입원금"과"운용수익"에 대해 16.5%의 기타소득세(주민소득세 포함)를 내야합니다. 그래서 개인연금저축에 가입했고 소득공제를 받았다면 해지시 큰 손실이 발생합니다.



  개인연금저축 꼭 필요할까?


위에서는 간략하게 연금의 개념과 장점 단점 정보를 알아봤으며 개인적인 생각과 의견을 말해보려고 합니다. 소득공제 혜택도 있으며 노후에 매달 연금을 받아 생활이 가능하여 안정적인 시스템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는 조금 다르게 생각합니다.


연금은 짧게는 10년에서 20년까지 장기간 납입하는 보험입니다. 정말 좋게 생각하면 장기간 안정적으로 돈을 저금하여 목돈을 받는다고 생각하면 매우 좋죠.


하지만 정말 개인적으로는 그 돈을 묵혀서 썩히는 것 보다는 지금 당장 공부하여 내가 가능한 범위에서 투자하여 수익을 낸다면 어떨까요? 저는 실제로 투자=수익을 내는 일들을 해내고 있습니다.

블로그 포스팅을 통해 많은 이야기는 어렵지만 꼭 하고싶은 이야기는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면 가입해도 나쁘지 않다. 하지만 내가 노력한다면 더 큰 돈을 만들 수 있다."입니다. 소통 감사합니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