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익한 정보

GTX 노선도 및 요금, 거리 등 총정리!!

by Real Pick 2019. 6. 7.

GTX 노선도 및 요금 거리 등 총정리!!


안녕하세요 리얼픽입니다. 오늘은 수도권에서 가장 주목받는 GTX 노선도 및 이용요금, 위치, 거리 등 종합 정보를 준비했습니다.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은 언제나 심각한 교통체증으로 몸살을 앓고 있으며 현실에 비해 너무 비싼 집값 때문에 서울 외곽 또는 경기도에서 출퇴근을 하는데 짧게는 1시간, 길게는 2시간이 소요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수도권 균형발전을 위해 진행되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 사업 GTX입니다.


GTX는 수도권 및 수도권 외곽의 주요 거점들을 1시간 이내 이동할 수 있는 교통수단으로 지하 40M 이하에 터널을 만들어 각 정거장을 최대한 직선으로 만들어 평균 100km에서 최대 200km로 이동하는 초고속 열차입니다.


GTX 노선도


GTX 전체 노선도


GTX는 A노선도, B노선도, C노선도 총 3개로 나뉘어 서울 외곽 지역에서 서울 중심으로 노선이 연결됩니다.


지하철 속도는 약 35~65km, 급행열차 45~85km GTX의 경우 지하철의 약 3배인 110km 이상으로 달리게 됩니다. KTX와 SRT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급행열차입니다.


GTX A노선도


GTX A노선도


A 노선은 파주(운정)와 동탄을 종점으로 삼성역, 서울역 등 서울 주요 도심부로 연결됩니다.


A노선 전체 길이는 83.3km, 동탄-삼성 구간은 2017년 3월 착공, 파주-삼성 구간은 2018년 착공될 예정이었지만 아직 착공하지 않았습니다. A노선은 2023년 개통을 목표로 공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GTX A 노선은 동탄역-구성역-판교역-수서역-삼성역-서울역-연신내역-대곡역-킨텍스역-운정역 총 10개역으로 이뤄지고 킨텍스역에서 삼성역까지 요금 약 3900원, 1km당 84.5원, 한달(평일 20일) 왕복 요금 약 15만 6000원, 킨텍스역-삼성역 편도 이동 시간 약 18~20분입니다.


GTX  B노선도


GTX B노선도


B 노선은 송도에서 남양주까지 연결되며 총 길이는 80.1km입니다.


정차역은 송도역-인천시청역-부평역-당아래역-신도림역-여의도역-용산역-서울역-청량리역-망우역-별내역-평내호평역-마석역 총 13개 정거장으로 2017년 예타착수로 올해 9월 결과가 발표될 예정입니다.


GTX C노선도


GTX C노선도


C 노선은 기존 금정-의정부에서 수원-덕정(양주)으로 노선을 확장했습니다.


정차역은 수원역-금정역-과천역-양재역-삼성역-청량리역-광운대역-창동역-의정부역-덕정역(양주역)으로 길이 74.2km 총 10개의 정거장으로 2021년 말 착공을 예정하고 있습니다.


GTX 이동시간


노선별 이동시간


A 노선도 거리별 시간- 운전역->서울역(20분), 삼성역->동탄역(19분), 기존 지하철 각 1시간  20분


B 노선도 거리별 시간 - 송도역->서울역(27분), 기존 지하철 1시간 20분


C 노선도 거리별 시간 - 삼성역->수원역(22분), 삼성역->덕정역(약 18분), 기존 각 1시간 18분


기존 지하철로는 1시간 20분 소요되는 거리를 16~20분만에 이동이 가능하다니 놀라울 따름입니다. 서울에 직장을 다녀도 GTX 노선만 있다면 불편함 없이 출퇴근이 가능하죠.


GTX A 노선 기본 요금은 약 2592원, 5km당 173원 추가되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으로 조정중에 있습니다. 지하철보다는 요금이 비싸지만 기존보다 이동 시간이 80%이상 줄어들기 때문에 충분한 값어치를 합니다.



GTX 노선도 확장으로 GTX 정차역 주변 아파트값은 상승하지만 주변 지역 활성화로 이어지기 때문에 좋은 영향이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서울에 거주하는 사람들도 타지역을 빠른 시간안에 이동할 수 있어서 차량보다는 GTX 탑승이 매우 유리해집니다.


이상으로 GTX 노선 및 요금 거리 정차역 등 정보를 알아봤습니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