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익한 정보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조회방법

by Real Pick 2022. 5. 15.

국민연금은 만 18세 이상 만 60세 미만 대한민국 국민은 모두 가입대상이며 국민연금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최소 가입기간 10년 동안 국민연금을 납부해야 만 65세부터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짧게는 10년 길게는 30년 이상 소득이 발생하며 매월 국민연금을 납부하는데 도대체 나의 국민연금 수령액이 얼마인지 궁금할 경우 미리 예상 금액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간단 조회를 통해 현재 가입된 금액 그리고 예상연금액 조회 방법 등 알아봤습니다.

 

 

1. 국민연금 납부금 계산

 

대한민국 국민 근로자 또는 사업자 등 모두 소득에 따라 국민연금을 납부해야 할 의무가 있어서 강제성이 강한 제도입니다. 하지만 강제로 짧게는 10년 길게는 30년 이상 납입하여 원금+이자가 붙어 노년을 책임져주는 주축이 됩니다.

 

매달 발생하는 소득의 9%를 국민연금으로 납부하는데 4대보험에 가입된 직장인들은 총금액의 50%를 회사에서 부담하고 남은 50%를 가입자가 납부합니다. 다만 국민연금은 하한액 29,700원, 상한액 471,600원 최소/최대 금액이 정해져 있습니다.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및 수령액 올리는 방법도 있습니다.

 

2.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가입내역확인)

국민연금공단 전자민원서비스 사이트를 통해 지금까지 납부한 연금 금액과 본인이 만 60세 이후 받을 예상연금액 조회 가능합니다.

 

NPS 국민연금 전자민원서비스에 접속하시면 상단에 전자민원 > 개인 민원 누르면 국민연금 납부액, 예상 연금 등 정보 확인 가능합니다. 따라오세요!

 

 

개인서비스 및 사업장 서비스 중 원하는 걸 선택하시면 되는데 개인서비스를 선택하여 저의 현재 상황을 살펴봤는데

 

 

 

가입내역 조회, 예상연금액 조회. 연금 모의계산 등 세세하게 살펴볼 수 있는데 먼저 가입내역을 조회하여 지금까지 납부한 금액과 기간을 살펴봤습니다. 다만 연금 정보를 알기 위해선 공인인증서 또는 간편 인증(카카오톡 편함) 등 인증이 필요합니다. 요즘은 카카오톡 인증이 전 편하더라고요.

 

 

간편 인증을 마친 후 연금보험 납부 내역이 상세히 나오는데 제가 사회생활을 2010년도부터 시작해 벌써 12년 정도 일만 하는 노동자의 삶을 되돌아보게 되네요. 해당 연도 기준 소득월액을 보니 10년 동안 월급도 꾸준히 늘어서 문득 뿌듯한 생각도 듭니다.

 

비고에는 그동안 근무했던? 지나왔던.. 잊고 지냈던 회사들 이름이 나와서 아주 잠깐 추억에 빠졌네요.

 

 

하단으로 내려오면 예상 연금월액 정보가 나오는데 필자는 2053년 12월부터 연금 수령이 가능합니다. 아직도 31년 일해야 한다는.. 슬픈 이야기네요 빨리 경제적 자유를 얻어 직장에서 나오고 싶습니다. 그래도 12년 동안 싫든 좋든 강제로 납부한 연금액이 생각보다 커서 조금 놀랐습니다.

 

3.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다시 첫 화면으로 돌아와 조회에서 예상연금액 조회를 눌러 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알아보기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전에 간편 인증을 마쳤기 때문에 별도 인증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나의 소득 상승률을 1%로 예상하여 계산된 수치인데 상승률이 높다면 변경도 가능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노후에 받을 국민연금 수령액 예상 계산을 해볼 수 있었습니다. 가끔 확인해 본다면 조금은 힘이 생길 것 같습니다.

 

3. 국민연금 수령액 올리는 방법

 

 

앞서 말했지만 국민연금은 가입기간+납부금액 등에 따라 받게 되는 금액이 달라지는데 기본적으로 가장 많이 받게되는 사람은 누구 일일까요? 만 18세부터 가입 가능하기 때문에 빨리 가입하여 오랫동안 납부한다면 이자도 늘어나서 그만큼 금액도 커지겠죠?

 

1. 임의가입제도

국민연금은 만 18세~만 60세 미만 의무 가입 대상이지만 임의가입제도를 사용하면 조금 더 빨리 가입할 수 있습니다. 지역 상관없이 국민연금공단 지사에서 신청 가능하며, 팩스, 우편, 전화 등 방법으로 신청합니다. 가입기간이 길 수록 수령액이 높아집니다.

 

2. 임의계속 가입제도

임의가입제도 반대인 임의계속 가입제도는 의무가입기간이 끝나는 시점인 만 60세 이후에도 지속해서 국민연금 보험료를 납부하는 제도로 납부금액이 늘어나 이율도 높아지는 효과가 있으며 65세 전까지 신청해야 합니다. 다만 60세 이전 가입기간이 없다면 가입할 수 없습니다.

 

 

3. 연기연금제도

국민연금 수령 나이에 수령하지 않고 연금 받는 시기를 늦추는 제도입니다. 수령 시기를 뒤로 미룰수록 원금+이자가 커지기 때문에 생각보다 체감이 크게 다가오는데 1개월 연기마다 0.6%씩 1년에 7.2% 가산한 금액을 지급받습니다. 수급자는 1회에 한하여 연기 신청 가능하며 만 60세~만 65세 미만에 신청할 수 있으며 최대 5년 연기하여 최대 36% 가산된 금액을 받습니다.

 

4. 추가 납입제도

다양한 이유로 국민연금 보험료를 납부하지 못하는 경우 일시금 또는 분할하여 보험료를 납부하면 가입기간을 인정해주는 제도입니다. 국민연금 최소 가입기간은 10년(120개월)을 채워야 연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소득이 불안정하거나 연금을 유지하기 힘들다면 최소한 10년 가입 보험료를 일시금 또는 분할로 납부하면 수령액은 적더라도 매달 꾸준히 연금 수령 가능합니다.

 

이상으로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정보를 알아봤는데 거북이처럼 느리지만 차곡차곡 쌓아 나의 노후에 큰 힘이 되는 국민연금제도 너무 미워하지 마시고 수령액 올리는 방법을 통해 매달 200만 원 이상 연금 받을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요.

 

 


TOP

Designed by 티스토리